"개요"
여기 뜨겁게 사랑했던 한 여자가 있습니다, 그러나 영원할 것만 같았던 사랑과 이별 중입니다.
또 한 남자가 있습니다. 지금은 꼬질꼬질해 보여도 한 때는 음반 회사의 대표이며 잘 나가던 스타 음반 프로듀서였습니다. 이 영화는 이렇게 절망과 슬픔 속에 있던 그레타와 댄이라는 남녀를 주인공으로 활기찬 대도시 뉴욕을 배경으로 음악의 힘을 통해 다시 일어서는 내용을 그린 2013년 개봉한 존 카니 감독의 뮤지컬 드라마 영화입니다.
사랑, 이별, 음악, 도시, 회복... 이 모든 것을 담고 있습니다.
"줄거리"
싱어송 라이터 지망생인 그레타에게는 남자친구 데이브가 있고 이 둘은 서로 음악적 교감을 함께 할 수 있는 연인이었습니다. 데이브의 영화음악이 성공을 거두면서 둘은 성공적인 삶을 기대하며 뉴욕으로 올라왔습니다. 그러나 스타가 된 데이브는 변해버렸습니다. 다른 여자를 사랑하게 된 데이브와 더 이상 함께 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뉴욕의 한 술집, 친구의 부탁으로 사람들이 가득 찬 바의 한 무대에서 그레타는 노래를 부릅니다.
반면 가정, 회사, 삶에서 길을 찾지 못해 헤매고 있는 댄, 그의 모든 삶은 음악입니다. 길을 찾아 헤매던 댄의 눈에 노래하는 그레타의 잠재력이 들어옵니다. 그는 그레타를 놓칠 수 없어 바로 자신과 함께 일할 것을 제안합니다. 댄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집으로 돌아온 그레타는 데이브와 함께 뉴욕에 도착했던 순간을 회상합니다. 댄과 그레타는 앨범을 내기 위해 댄이 쫓겨났던 레이블에 찾아가지만, 그 어떤 돈도 지원받지 못합니다. 댄은 그레타에게 뉴욕을 돌아다니면서 녹음을 해 앨범을 만들자고 제안하고 그레타는 이를 수락합니다. 노래를 녹음하면서 부딪히게 되는 장애물들을 이들은 음악에 대한 열정과 서로에 대한 신뢰를 통해 극복해 가며 앞으로 나아갑니다. 재능 있는 멤버들을 모으고, 뉴욕의 아름다운 도시의 풍경을 배경으로 잊지 못할 노래들이 펼쳐집니다.
두 사람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진 과감한 도전은 두 사람의 삶에 큰 터닝 포인트가 됩니다. 평행선과 같은 두 사람의 관계 속에 음악은 그들의 관계를 풍요롭게 만듭니다. 그레타는 다시 연인으로 돌아오고 싶어 하는 데이브의 콘서트를 보며 각자의 추구하는 음악의 세계가 다르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만의 색깔이 녹아있는 음악의 세계를 선택합니다. 댄은 딸, 바이올렛과 깨어진 관계도 회복되고 아내, 미리엄과도 연결되어 안정된 삶을 찾게 됩니다.
"출연진"
그레타의 역을 맡은 키이라 나이틀리는 가늘면서도 신비로운 목소리로 영국 출신의 싱어송라이터 지망생인 그레타의 역을 아름답게 소화해 내고 있습니다. 존 카니 감독은 음악에 대한 열정적 모습을 마크 러팔로의 얼굴과 몸짓에 그대로 담았습니다. 마크 러팔로 만의 강렬하고 감정 넘치는 연기는 그레타만이 아니라 그 어느 누구도 거절할 수 없는 끌림이 있습니다. 두 배우의 케미스트리는 뉴욕의 복잡함과 아름다움의 양면성 속에서, 음악이라는 매체를 통해 부드럽게 연결되어, 영화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그레타의 남자 친구, 데이브 역을 맡은 마룬 5의 리드 싱어인 아담 리바인은 이 영화에서 연기 데뷔를 하였습니다. 영화 마지막 콘서트 장면에서 그레타가 만들어 준 노래 'Lost Stars'는 영화 속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마음을 충분히 공감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비긴 어게인의 매력은 바로 이러한 OST를 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Lost Stars", "Tell me if You Wanna Go Home"은 여전히 지금도 사랑받고 있습니다. 서로의 인연을 찾는 일, 자신의 꿈을 좇는 행동, 실패와 후회들로 내 젊음이 낭비되는 것처럼 느껴진다 할지라도 삶의 의미를 찾아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이 OST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감상"
친구의 부탁으로 사람들이 가득 찬 바의 한 무대에서 그레타는 노래를 부를 때 각자의 테이블에 앉아 담소를 나누는 사람들은 따뜻하지만, 건조한 인간관계의 한 단면을 보여주었습니다. 뉴욕이라는 도시를 선택한 것도 아마 그런 분위기를 더 잘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건조함 속에 음악이 들어가면 활기와 다양성이 넘치게 됩니다.
'비긴 어게인', 사람들을 치유하고 회복하는 힘이 음악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또한 진정한 자신을 찾을 수 있는 힘이 음악에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키이라 나이틀리의 음악을 통하여 아프고 상처 있는 관객들을 위로하고 있습니다.
'Miso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수] 사랑, 슬픔, 그리고 죽음 (0) | 2023.10.16 |
---|---|
[더 클래식] "한국 영화의 시대를 초월한 걸작: 고전 한국 영화 탐구" (0) | 2023.10.15 |
[벌집의 정령] 현실과 상상의 완벽한 조화 (0) | 2023.10.14 |
[죽은 시인의 사회] "오 캡틴, 마이 캡틴!" (0) | 2023.10.12 |
[30일] 영화 리뷰, "달콤함, 파국 그리고 사랑" (0)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