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김도영 감독으로 상영된 "82년생 김지영"은 조남주 작가의 베스트셀러 원작을 영화화 한 것입니다. 김도영 감독 역시 여성이며 배우 겸 감독으로 이 영화가 첫 장편 영화이기도 합니다. 조남주 작가가 2016년 이 책을 출판했을 때 100만부 이상 팔리는 기염을 토하면서 젠더 문제, 이념 문제와 같은 큰 사회적 이슈를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이 영화는 관객들의 관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보입니다. 책의 흥행에도 불구하고 영화에 대한 시선은 다를 수 있겠습니다만, 사회적 문제를 일상적 삶으로 보여줌으로서 충분히 작가와 감독의 의도를 잘 전달하였으며 모든 계층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작품입니다. 스토리 구성에서 산후 우울증을 '빙의'라는 형태로 드러내면서 다소 판타지적인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하였지만, 적절한 상황에서 너무 많지도, 너무 적지도 않은 표현으로 도리어 관객들이 감정적으로 몰입하면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짜임새있게 구성되었습니다. 도리어 이런 표현 하나하나가 너무 강렬해서 보는 사람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실감나게 하였습니다. 페미니즘 적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 분위기는 긴장감이 있기 보다는 매우 잔잔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표현에 있어 포인트는 빙의라고 할 수 있지만, 옴니버스식으로 여성들의 여러가지 갈등, 스트레스, 차별에 대한 상황 그리고 표현을 삽입함으로써 지영이 원하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해야만 하는 환경과 사회적 분위기를 더욱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스토리
어느 평범한 가정의 남편이자 아빠인 대현(공유). 대학을 졸업하고 광고기획사를 다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집안 살림만을 하게되는 지영(정유미). 대현이 출근을 한 사이 빨래를 삶고, 청소를 하고 아기 장난감을 치우고 그리고 창밖을 멍하니 쳐다봅니다. 이것이 82년생 김지영의 하루 입니다. 아내의 이상 행동으로 인해 남편 대현은 정신병원을 찾습니다. 명절이 다가오면서 지영이 걱정되는 대현은 이번 명절에는 시댁에도 친정에도 가지말고 쉬자고 제안합니다. 신혼때 지영이 그런 제안을 했을 때는 절대 안된다고 하던 대현이 도리어 집에서 쉬자는 제안을 하자 이상하게 생각하며 지영은 안내려가면 어머님이 아들 혼내겠냐, 며느리 혼내지..하며 거절합니다. 시댁에 내려간 지영은 새벽부터 한밤중까지 하루종일 집안일에 메달려 쉴틈이 없습니다. 대현은 이런 지영과 얼른 시댁을 나오려는 순간 시누이가 도착하는 바람에 출발을 못합니다. 시어머님은 딸을 대접하는데도 지영을 부려먹고 집으로 보낼 생각을 하지 않자, 지영은 친정어머니로 빙의가 시작되어 친정어머니로서 지영을 변호하는 말을 시댁 식구들에게 내뱉습니다. 지영은 자신의 정신적 이상을 알지 못한 체 결혼 전 직장에 취업 제안을 받게 됩니다. 베이비시터를 구하지 못해 어찌할 바를 모르는 지영에게 대현은 자신이 육아휴직을 낼테니 하고싶은 일을 하라고 용기를 복돋아 줍니다. 그러나 시댁식구들의 만만치 않은 반대에 부딪히고 지영은 또한번 좌절을 합니다. 대현은 어쩔수 없이 지영의 우울증이 빙의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려주고 치료를 받자고 권합니다. 지영은 정신과를 통해 그동안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며 하고 싶은 것들에 대해서도 자신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며 위축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게됩니다. 의사의 권유로 인해 하나하나 이러한 자신의 태도를 바꿔가며 다시 지영은 자신의 모습을 찾아갑니다.
출연진
82년생 김지영은 주연배우로서 정유미와 공유가 부부로 나오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성적 우위를 주장할 수 있는 남성들의 세계만을 보는 것이 아닌 아내를 걱정해주고 아껴주는 공유 특유의 묵직함을 잘 표현해주고 있는 캐릭터입니다. 정유미는 그녀의 대표적 드라마로 꼽히는 연애의 발견에서는 당돌하면서 흡입력있는 역할을 잘 소화해 냈었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경력 단절의 아픔을 담담히 받아들이며 환경에 순응해 가는 순종적 여성의 역할을 아주 잘 표현해서 무거운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삶에 자연스럽게 녹아들게 하여 관객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데 성공하였습니다. 페미니즘적 요소를 강하게 부각시키는 남성 조연 배우들, 얼큰한 사투리를 구사하며 시댁의 횡포를 제대로 보여주는 시어머님(김미경), 그리고 딸에 대한 무한한 사랑으로 관객을 눈물 짓게 한 지영의 친정어머니(김미경-시어머님역과 동명이인). 이들의 현실적인 연기는 감독이 이야기하고자하는 문제를 사실적으로 너무나 잘 표현해 주었습니다. 지영이 '친정어머니의 어머니'로 빙의해서 자신의 어머니를 자식인것처럼 이야기할때 아무말도 못하고 그저 딸인 지영을 안아주며 울부짖는 장면에서는 정말 심장이 깨져버리는것 같습니다.
감상
젠더 영화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영화라서 다소 거부감이 있기는 했지만, 도리어 여자로서, 또는 사회 약자로서 받았던 그런 부당한 대우들을 담담하게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시대에도 우리나라 여성에 대한 편견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도리어 좀 더 강하게 드러내도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사회 고발이라고 하기에는 많이 약했고, 직설적이지 않으면서 일상적인 자연스러움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이런 내용을 정치적인 요소로 해석하여 평을 하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영화 속에서, 남성이 여성을 보는 관점에 대해 과하게 표현된 부분도 없지 않습니다. 특히 아기와 함께 커피숍을 방문한 지영이 커피를 쏟았을때 뒤에 있던 남자들이 '맘충이', '민폐' 와 같은 표현으로 지영, 곧 여성을 비하하는 장면이 그렇습니다. 모든 남성들이 그런 것은 아닌데 마치 모든 남성들이 그렇게 생각한다는 이미지를 줄 수도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감독의 시대 고발, 즉 어느정도 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분위기를 고발한다는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잘 이해가 됩니다. 젠더 이슈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해결해 나가려면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과 배려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이 영화는 "혐오에 혐오로 맞서고 정쟁에 정쟁으로 맞서려고만 하지말고, 약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수정해 나가려는 노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지영의 딸, 아영이가 커서 김지영의 나이가 됬을때에는 누구나 공정한 기회로 남녀, 이념, 세대 차이 없이 행복하게 잘 살 수 있는 시대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Miso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시 운전사] 대한민국의 역사를 바꾼 U턴 (0) | 2023.10.22 |
---|---|
[벌새]"1초에 60번의 날갯짓으로라도 날자" (0) | 2023.10.20 |
[애수] 사랑, 슬픔, 그리고 죽음 (0) | 2023.10.16 |
[더 클래식] "한국 영화의 시대를 초월한 걸작: 고전 한국 영화 탐구" (0) | 2023.10.15 |
[벌집의 정령] 현실과 상상의 완벽한 조화 (0) | 2023.10.14 |